iOS를 사랑하는 AOS 개발자
[Android] 안드로이드 Intent란? 본문
반응형
SMALL
👼🏻 초보 안드로이드 개발자가 매번 구글링하기 싫어서 정리하는 블로그 👼🏻
안녕하세요!!
안드로이드의 필수템(?) Intent에 관해 작성해 보겠습니다
✅ Intent
✔️ 인텐트는 messaging object(메세지 객체) 이다. 이 객체를 통해 다른 컴포넌트 간에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.
Intent 타입
☑️ 명시적 Intent ( Explicit Intents )
명시적 인텐트는 인텐트에 클래스 객체나 컴포넌트 이름을 지정하여 호출할 대상을 확실히 알 수 있는 경우에 사용한다. (주로 애플리케이션 내부에서 사용)
☑️ 암시적 Intent ( Implicit Intents )
안드로이드 시스템이 인텐트를 이용해 요청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적절한 컴포넌트를 찾아 사용자에게 그 대상과 처리 결과를 보여준다.
암시적 인텐트는 호출할 대상이 달라질 수 있는 경우에는 암시적 인텐트를 사용한다.
( ⚡️ Intent 예제 ⏬ )
[Android] 안드로이드 Activity 이동 ( feat. Intent )
👼🏻 초보 안드로이드 개발자가 매번 구글링하기 싫어서 정리하는 블로그 👼🏻 안녕하세요! 오늘은 앱 개발에 있어서 필수적인 (?) 정말 많이 사용하는 Intent 를 사용해볼거에요!! 첫번째 Acti
devziner.tistory.com
☑️ IntentFilter
암시적 인텐트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앱을 사용할지 선택하도록 할 때 IntentFilter가 필요하다
☑️ PendingIntent
Intent를 가지고 있는 클래스로, 기본 목적은 다른 애플리케이션(다른 프로세스)의 권한을 허가하여 가지고 있는 Intent를 마치 본인 앱의 프로세스에서 실행하는 것처럼 사용하는 것이다.
Notification은 안드로이드 시스템의 NotificationManager가 Intent를 실행합니다. 즉 다른 프로세스에서 수행하기 때문에 Notification으로 Intent수행시 PendingIntent의 사용이 필수 입니다.
( 예제 조만간 올리겠습니다 😉 )
🔆 막무가내 기술 블로그 / Android Interview 에서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.
원본 : https://www.notion.so/imwj/Android-Interview-3ce7ddf12ddb413a9d2213173654d52c
반응형
LIST
'Android (이론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ndroid] ANR 이란? (0) | 2023.09.10 |
---|---|
[ Kotlin ] Kotlin 과 Java 차이점 1 - 변수와 자료형 (0) | 2022.01.18 |
[Android] Activity 생명주기 (0) | 2021.12.20 |
[Android] Activity와 Fragment의 차이점 (0) | 2021.12.17 |
[Android] 안드로이드 4대 컴포넌트 (0) | 2021.12.17 |
Comments